“전기차,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지하주차장 속 또 하나의 비극
오늘(3월 27일) 새벽, 경기도 용인시 흥덕 IT밸리에서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고 한 남성이 숨졌다.
불은 전날 밤 10시 50분쯤 시작돼 무려 5시간 반이 지나서야 완전히 꺼졌고, 지하 2층에 주차된 차량에서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망자는 50대 남성으로,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안타깝게 숨졌다.
이 불로 인해 지하주차장에 있던 차량 수십 대가 피해를 입었고, 3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50여 명이 대피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불이 난 차량이 전기차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끊이지 않는 전기차 화재… ‘지하주차장 공포’ 확산
최근 몇 달 사이,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서 불이 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오늘 아침에도 충남 아산과 경기도 용인에서 각각 벤츠와 현대 전기차가 불길에 휩싸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두 차량 모두 국내산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이었고, 충전 중 화재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점검에서도 ‘이상 없음’ 판정을 받았던 차량이, 충전 중 갑자기 화염에 휩싸이고, 차량 바닥에서부터 연쇄 폭발이 이어지는 모습은
더 이상 전기차 화재가 ‘드문 사고’가 아님을 보여준다.
특히 밀폐된 공간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는 더욱 치명적이다. 연기와 유독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초기 진화도 어려워
인명 피해로 직결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화재 진압은 더욱 어렵고 자칫 건물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서 더 위험하다는게 많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기차 출입 금지’ 안내판이 다시 등장하는 이유
요즘 전국 아파트 단지, 주차빌딩 곳곳에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를 우려한 탓인지 ‘전기차 출입 금지’ 안내판이 다시 등장하고 있다.
이는 마치 과거 BMW 디젤차 화재 사건 당시, 차량 출입을 금지했던 모습과 판박이이다.


전기차 보급률은 갈수록 높아지는데, 잇따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고는 전기차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고, 주차장 등 시설 운영자들 사이에선
‘잠재적 폭탄’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기차 화재,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전기차 보급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충전 중 발생하는 화재 사고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지하주차장 전기차의 화재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소방 대응이 아닌 기술적·제도적·인프라 차원의 예방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아래는 전기차 화재를 줄이기 위한 핵심 대응 방안 5가지이다.
1️⃣ 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 개발 가속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며, 이는 충격이나 과열 시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유발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고체 전해질은 비가연성이며, 열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 면에서 훨씬 안전하다.
일본 토요타, 현대차그룹, 삼성SDI 등이 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으며, 더 빠른 투자와 기술 확산이 요구된다.
2️⃣ 충전 중 과열 방지 시스템 강화
전기차 화재의 상당수는 충전 중 발생합니다. 급속 충전 시 배터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 배터리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정밀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 온도 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충전을 차단하는 하드웨어적 안전장치 필요
- 충전소에 AI 기반 열 분석 시스템 도입
3️⃣ 지하주차장 전용 소방설비 업그레이드
지하주차장은 밀폐 구조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 소화기로 진화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특화 설비가 필요하다.
- 질식 소화포: 차량 전체를 덮어 산소 차단
- 전기차 전용 스프링클러: 배터리 하단까지 대응 가능
- 열·가스 복합 감지기: 조기 경보 기능 강화
- 전기차 전용 소화약제 도입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진압 장비가 도입돼야 한다
4️⃣ 배터리 제조사 정보의 투명 공개와 책임 체계 마련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제조사, 차량 제조사, 충전 인프라 등 책임소재가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
- 배터리 제조사별 공급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
- 정부 차원의 배터리 이력추적 시스템(Battery Passport) 도입
- 소비자가 배터리 정보에 따라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 보장
5️⃣ 충전기 안전 인증 및 주기적 점검 제도화
충전소 수는 늘고 있지만, 설치 품질과 점검 체계는 미비합니다. 충전기 자체가 화재 원인이 될 수 있다.
- 고속 충전기 안전 인증 의무화
- 6개월~1년 단위 정기 점검 제도화
- AI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으로 상시 상태 점검
이제는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
전기차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지만, ‘안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 보급도 멈출 수밖에 없다.
사용자는 죄가 없다. 단순히 사용자 탓으로 돌릴 일이 아니다. 차량 제조사, 배터리 업체, 정부 모두가 기술적·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지하주차장 같은 실생활 공간에서 전기차가 안심하고 주차되고 충전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해야 할 때다.
오늘 희생된 50대 남성같은 안타까운 죽음이 재발되지 않도록, 이제는 ‘화재 이후 대처’가 아니라 ‘화재 이전 예방’이 중심이 돼야 한다.
#전기차화재 #지하주차장전기차화재 #전기차안전 #전기차충전중화재 #전기차출입금지 #전기차배터리 #용인화재